집화살표_1
업무사례
화살표_2법률정보

법률정보

다양한 법률 지식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대전법률사무소가 추천한 사기 피해금 되찾기 위한 방법은?

2022.08.21

사기 피해금액 되찾기, 형사배상명령 혹은 민사소송으로

1) 대전법률사무소가 정리한 민·형사적 책임은?

가해자가 사기죄 처벌을 받았다고 해서 피해자들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까지 면할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피해자들에게 편취한 금액에 대한 반환 책임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사기 피해자들은 유죄 판결을 받은 가해자에 대해 배상명령을 신청하거나 별도의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2) 대전법률사무소가 살펴본 배상명령제도는?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25조

(배상명령)

중에서

① 제1심 또는 제2심의 형사공판 절차에서 다음 각 호의 죄 중 어느 하나에 관하여 유죄 판결을 선고할 경우, 법원은 직권에 의하여 또는 피해자나 그 상속인의 신청에 의하여 피고사건의 범죄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직접적인 물적 피해, 치료비 손해 및 위자료의 배상을 명할 수 있다.

 1. 「형법」 제257조제1항, 제258조제1항 및 제2항, 제258조의2제1항(제257조제1항의 죄로 한정한다)ㆍ제2항(제258조제1항ㆍ제2항의 죄로 한정한다), 제259조제1항, 제262조(존속폭행치사상의 죄는 제외한다), 같은 법 제26장, 제32장(제304조의 죄는 제외한다), 제38장부터 제40장까지 및 제42장에 규정된 죄 (중략)

 

재판에서 유죄판결을 선고할 경우  피해자가 가해자의 범행으로 인해 발생한 직접적인 물적 피해나 치료비, 위자료 등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배상명령'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형법 제39장 '사기와 공갈의 죄'에 해당하는 제327조부터 제354조까지 규정된 죄 또한 배상명령 신청 대상이 됩니다.


3) 민사상 손해배상청구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사기죄 성립요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직접적 인과를 밝히지 못하여 배상명령신청이 기각되거나, 신청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민사소송을 통해 다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기망행위에 고의성이 없어서 사기죄 무죄판결을 받아 배상명령제도 신청 대상이 아니더라도, 민법 제750조의 '고의 또는 과실로' 위법행위를 하여 가한 손해의 배상 책임을 근거로 피해금액을 돌려달라는 내용으로 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모든 분야 한 눈에 보기

방문상담예약접수

법률고민이 있다면 가까운 사무소에서 형사전문변호사와 상담해보세요

이름

연락처

사무소

select icon

사건분야

select icon

문의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