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스토킹처벌법 | 개념
- 2. 스토킹처벌법 | 해당 행위
- 3.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범죄 처벌
- -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행위 처벌
- 4. 스토킹처벌법 | 대응 방법
- -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 당했다면
- -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 했다면
2. 스토킹처벌법 | 해당 행위
스토킹처벌법에서 스토킹은 어떤 행위에 해당될까요? 아래의 행위들이 스토킹행위에 해당됩니다.
-상대방 또는 그의 동거인, 가족에게 접근하거나 따라다니거나 진로를 막아서는 행위
-상대방등에게 휴대폰 등에 의하여 글ㆍ말ㆍ부호ㆍ음향ㆍ그림ㆍ영상ㆍ화상이 상대방등에게 나타나게 하는 행위 -상대방등에게 직접 또는 제3자를 통하여 물건등을 도달하게 하거나 주거등 또는 그 부근에 물건등을 두는 행위 -상대방등의 주거등 또는 그 부근에 놓여져 있는 물건등을 훼손하는 행위 -개인정보, 개인위치정보 등 상대방의 정보를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배포 또는 게시하는 행위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등의 이름, 명칭, 사진, 영상 또는 신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상대방등인 것처럼 가장하는 행위 |
스토킹처벌법으로 처벌되는 스토킹범죄는 위 스토킹행위를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3.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범죄 처벌
스토킹처벌법에 의해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처벌 받게 되는데요, 아래의 처벌을 받게 됩니다.
스토킹범죄의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18조(스토킹범죄)
①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흉기 또는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이용하여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행위 처벌
스토킹처벌법에서 스토킹범죄는 스토킹행위를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행했을 때 처벌 받게 된다고 했는데요,
그렇다면 스토킹행위를 일시적으로 행한 사람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스토킹행위는 그 행위를 통해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는데요,
일시적으로 그 행위를 했다면 아래의 조치에 처해집니다.
-스토킹 행위 신고 시 응급조치 대상
-스토킹행위가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행해질 우려가 있고 긴급한 상황에서 취해지는 긴급응급조치 대상
-스토킹범죄를 저지르고 재범의 우려가 있다면 잠정조치 대상
만일 응급조치를 위반하면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긴급응급조치 또는 잠정조치를 위반하면 처벌이 가해집니다.
긴급응급조치를 위반하는 경우 4개월 이상 8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상 600만원 이하의 벌금,
잠정조치를 위반하는 경우 6개월 이상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상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응급조치*
-스토킹행위 제지 -향후 스토킹행위 중단 통보 -스토킹 행위를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행할 시 처벌 경고 -스토킹 행위자와 피해자의 분리 및 범죄수사 -피해자 등에 대한 긴급응급조치 및 잠정조치 요청의 절차 등 안내 -스토킹 피해 관련 상담소 또는 보호시설 안내
*긴급응급조치*
-스토킹행위 상대방이나 그 주거등으로부터 100미터 이내 접근 금지 -스토킹행위 상대방에 대한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 금지
*잠정조치*
-서면경고 및 스토킹범죄 상대방이나 그 주거등으로부터 100m 이내 접근 금지 - 유치장이나 구치소에 유치 될 수 있음 |
4. 스토킹처벌법 | 대응 방법
스토킹범죄를 저질렀거나 당했다면 그에 맞는 대응이 필요합니다.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 당했다면
스토킹처벌법은 스토킹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절차도 규정하고 있습니다.
스토킹범죄를 당했다면 그 즉시 신고한 후 아래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스토킹행위자로부터 분리된 곳에서 조사 진행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검찰청 또는 경찰서 소속 공무원의 신변안전조치(특정시설에서의 보호, 신변경호, 증인 출석 및 귀가 시 동행, 주거에 대한 주기적 순찰 등)
-피해자 지원시설에서 상담, 숙식, 거소 제공 등
스토킹처벌법 | 스토킹 했다면

스토킹처벌법으로 처벌 받을 수 있는 스토킹범죄로 저질렀다면 처벌이 불가피합니다.
스토킹처벌법은 과거에는 반의사불벌죄로 피해자와 합의 시 처벌을 피할 수 있었으나 2023년 이후부터 폐지돼 피해자와 합의를 했더라도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토킹처벌법으로 규정돼 있는 스토킹행위가 많기에 자신이 스토킹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저질러 처벌 받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경우 반드시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자신의 행동을 자각하지 못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법무법인(유한) 대륜 형사그룹은 다양한 승소 사례를 바탕으로 의뢰인 맞춤형 대응 전략을 수립합니다.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지금 바로 대륜 형사전문변호사에게 사건을 의뢰해주세요. |